430000
메탐페타민 중독 환자에서의 뇌혈류 변화 연구
가톨릭대학교 핵의학과¹ 정신과² 의공학과³
정용안¹,김대진² 주라형³ 채정호² 김성훈¹ 손형선¹ 정수교¹
목적: 메탐페타민은 강력한 정신자극제이며 중독성마약제이고 뇌신경독성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도파민세포에 일차적으로 작용하여 손상을 주는 것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메탐페타민을 대량으로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에 대한 뇌독성 연구와 뇌혈류변화에 관한 보고는 아직 없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메탐페타민 중독환자에서 뇌혈류 SEPCT을 시행하여 국소뇌혈류의 변화를 알아보고 환자들의 치료와 신경정신생리 연구에 관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방법:환자군은 메탐페타민을 최소한 6개월이상 정맥을 통해 대량으로 투여해왔던 남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군은 현재 6개월 이상 메탐페타민의 사용을 중지하고 있다. 정상 대조군은 환자군과 나이가 맞는 15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 대조군과 환자군 모두에서 Tc-99m ECD를 투여한 후 뇌혈류 SEPCT을 얻었으며 SPM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메탐페타민 중독환자에서 양측 기저핵과 시상 그리고 양측 변연계의 대상이랑, 양측 전두엽의 중간전두이랑, 좌측 측두엽의 방추상이랑 등이 혈류가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corrected p<0.001, voxel>200). 또한 메탐민 중독환자에서 혈류가 증가한 부위는 양측 전두엽의 상전두이랑과 양측 소뇌천막 등이었다 (corrected p < 0.005, voxel>200). 결론:메탐페타민을 장기간 대량으로 투여 시에는 국소적인 뇌혈류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는 아마도 메탐페타민의 절제에도 불구하고 그 회복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 사실에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탐페타민의 도파민 관련 뇌영역의 뇌독성과 함께 혈류변화의 문제에 새로운 관심을 갖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03
Selection of Appropriate Template for Spatial Normalization of Brain Images: Tensor Based Morphometr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Jae Sung Lee,Dong Soo Lee, Yu Kyeong Kim,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Purpose: Although there have been remarkable advances in spatial normalization techniques, th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the hemispheres and the sulcal pattern of brains relative to age, gender, races, and diseases cannot be fully overcome by the nonlinear spatial normalization techniques. Methods:T1 SPGR MR images in 16 elderly male normal volunteers (>55 y, mean age: = 61.8 ¡¾ 3.5 y) were spatially normalized onto the age/gender specific Korean templates, and the Caucasian MNI template and the extent of the deformations were compared. These particular subjects were never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emplates. First, the images were matched into the templates using an affine transformation to eliminate the global difference between the templates and source images. Second, the affine registration was followed by an estimation of nonlinear deformation. Determinants of the Jacobian matrices of the nonlinear deformation were then calculated for every voxel to estimate the regional volume change during the nonlinear transformation. Results:Jacobian determinant images highlighted the great magnitude of the relative local volume changes obtained when the elderly brains were spatially normalized onto the young/midlife male or female templates. They reflect the enlargement of CSF space in the lateral ventricles, sylvian fissures and cisterna magna, and the shrinkage of the cortex noted mainly in frontal, insular and lateral temporal cortexes, and the cerebellums in the aged brains. In the Jacobian determinant images, a regional shrinkage of the brain in the left middle prefrontal cortex was observed in addition to the regional expansion in the ventricles and sylvian fissures, which may be due to the age differences between the template and source images. Conclusion:The regional anatomical difference between template and source images could impose an extreme deformation of the source images during the spatial normalization and therefore, individual brains should be placed into the appropriate template.



430004
소동물 전용 PET을 이용한 전농고양이의 청각피질 포도당대사 평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¹, 이비인후과학교실², 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³
김진수¹,이재성¹, 이동수¹, 이종진¹, 이효정², 박민현², 오승하², 임상무³, 정준기¹, 이명철¹
목적: 전농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대뇌 일차 청각피질의 포도당 대사는 뇌의 가소성에 의해서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이 연구에서는 고양이 전농 모델에서 뇌의 가소성 연구를 위한 소동물 전용 PET 이용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정상 고양이와 전농이 고양이의 대뇌 청각피질 포도당 대사 차이에 대한 기초 실험을 하였다. 방법:microPET R4스캐너를 이용하여 고양이 뇌 F-18-FDG PET 영상(정상:3,전농:2)을 얻었다. 고양이는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전임상실험실에서 정상적인 조건 하에 사육을 했고 PET 영상을 얻기 하루 전 석식 후부터 금식을 시켰다. 뇌 PET 영상 획득을 위하여 ketamine 0.2 cc/kg, xylazine 0.03 cc/kg을 근주하여 마취를 하고 정맥로를 확보한 뒤 30분마다 ketamine 0.1 cc/kg를 추가로 정맥주사하였다. 마취 후 Ge-68 점선원을 사용하여 30분 간 단일계수모드로 투과영상을 얻었다. Ge-68 선원을 제거한 후 약 FDG 111 MBq과 ketamine 0.1cc/kg를 정맥주사하고 30분간 동시계수 모드로 방출영상을 획득하였다. Fourier rebinning을 이용하여 3D 데이터를 2D 데이터로 변환하였고 2D OSEM(subset:16, 반복수:4)을 사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청각피질의 포도당 대사 감소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양이 뇌 PET 영상의 청각피질에 관심영역을 그린 다음 평균계수를 측정하였고 기준 영역이 되는 소뇌에 관심영역을 그린 다음 평균계수를 측정하여 계수비(=청각피질 평균계수/소뇌 평균계수)를 비교하였다. 결과:3마리 정상 고양이의 포도당대사의 계수비는 2.49±0.13, 전농 고양이의 포도당대사 계수비는 2.23(전농기간 5달), 2.52(전농기간 2달)이었다. 결론:소동물 전용 microPET R4를 이용하여 고양이 뇌 PET 영상을 얻기 위한 프로토콜을 확립하였고, 전농 고양이의 포도당대사가 정상 고양이보다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430009
다양한 뇌 질환에서 뇌혈류 스펙트의 SPM Graphic window 영상에 의한 직관적 진단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과¹ , 신경과²
정영진¹,강도영¹ , 박경원² , 김재우²
목적: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은 뇌혈류의 증감을 시각적으로 분명하게 나타내며, 육안 판독으로 알기 어려웠던 미묘한 혈류의 변화까지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SPM은 Graphic window 영상이라고 하는 투사 영상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육안 분석과 함께 SPM Graphic window 영상이 다양한 뇌질환에서 뇌혈류 스펙트의 진단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방법:Alzheimer's disease,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Dementia with Lewy body, Huntington's disease, Parkinson disease, Transient global amnesia, Ant. cerebral artery infarction, Mid. cerebral artery infarction, Post. cerebral artery infarction, Periventricular WM ischemia, Hydrocephalus, Post-traumatic syndrome 환자에 대해 각 질환별로 수명에서 수십 명씩 Tc-99m HMPAO 뇌혈류 스펙트를 시행하여 그 중에서 가장 전형적인 소견을 보인 것을 선택하였다. 각 환자에게 Tc-99m HMPAO 30mCi를 정맥 주사하고, 10분 후에 촬영을 시작하여 이중헤드 감마카메라 (Multi Spect Ⅱ, Siemens) 에서 20분간 촬영하였다. 각 환자들의 자료는 다시 SPM으로 (Matlab 5.3, SPM 99) 분석하여 육안 분석과 함께 Graphic window 영상을 판독에 이용하였다. 결과:본 연구의 결과로 위의 다양한 질환에서 Graphic window 영상을 얻었다. 다양한 질환에서 육안 분석만을 하는 경우 한 명의 판독에 걸리는 과정보다 Graphic window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 판독 과정의 단축을 가져 올 수 있었다. Graphic window 영상은 특징적인 질환에서 인상적인 소견을 보여서 직관적으로 바로 진단에 도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작은 병변의 경우 육안 판독에서 명확하지 않은 부위를 쉽게 찾아 낼 수 있게 하였다. 특히 판독의 경험이 많지 않은 경우에 더욱 유용하였다. 또한 혈류 증가를 보이는 부위의 판정에 유용하였다. 결론:다양한 뇌질환에서 뇌혈류 스펙트의 육안 판독이 기본이지만 SPM Graphic window 영상이 판독자로 하여금 병변을 직관적으로 진단 가능하게 하여 판독의 과정을 단축시키고, 판독의 초보자에게 진단의 확실성을 증가시켜주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SPM Graphic window 영상은 뇌혈류 스펙트의 판독시 참조할 만한 자료가 될 것이다.



430010
임상 진료 환자의 뇌혈류 스펙트 영상 판독에 SPM 이용이 일상적으로 가능하다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과¹ , 신경과²
강도영¹,정영진¹ , 박경원² , 김재우²
목적: 임상 진료 현장에서 뇌혈류 스펙트의 판독은 육안 소견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으나 객관성과 정확도에 있어서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PM과 같은 프로그램이 등장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에 도움이 되었지만 이는 임상 연구에 주로 이용이 되고 임상 현장에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과정이 복잡하여 제한적으로 사용이 되었다. 그러나 저자들은 모든 임상 진료 환자들의 뇌혈류 스펙트 영상 판독을 SPM을 이용하여 일상적으로 시행하였으며 SPM의 실제적 이용 방법과 그 효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방법:본원에서는 2003년 12월부터 현재까지 총 396명의 환자에 대해 SPM을 이용한 판독을 시행하고 있다.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환자의 스펙트 자료를 PACS에서 DICOM 파일로 저장한다. DICOM 파일을 MRIcro program으로 Analyze 파일로 변환한다. SPM 프로그램에서 spatial normalization를 하고, 다음에 smoothing을 한다. 미만성 뇌질환 환자의 경우 그 전에 소뇌에 대해서 count normalization의 과정을 거친다. 그 후 통계적인 분석을 시행하며 uncorrected p-value는 대개의 경우 0.01을 사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0.001이나 0.05를 사용하기도 한다. SPM의 MNI 좌표를 Talairach 좌표로 엑셀의 매크로를 이용하여 변환하고, 변환한 좌표를 Talairach daemon 프로그램으로 최종 병변의 위치를 알아낸 후 판독에 사용하였다. 결과:SPM 분석 과정 중 MNI 좌표를 Talairach 좌표로 변환하게 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엑셀 프로그램으로 이러한 좌표 변환이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한 후에는 상당히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현재 DICOM 파일을 받아서 좌표변환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개 1명당 15분 이내에 완료하게 된다. SPM을 이용한 판독으로 판독자의 확신도 증가하였으며, 임상의 신경과 의사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병변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SPM 분석을 시행한 후 현재까지 검사 건수는 시행 이전의 동일 기간 건수에 비해 34 %의 향상이 있었다. 결론:SPM은 임상 연구에서 뿐만 아니라 임상 진료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판독에 이용이 가능하였으며 판독자나 임상 의사의 만족도도 증가하였다. SPM은 앞으로 더욱 임상 진료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30011
Correlation with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nd SPM analysis of brain perfusion SPECT in patients with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 Neurology?÷, Dong-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Young Jin Jeong,Do-Young Kang?? , Kyung Won Park?÷ , Jae Woo Kim ?÷
Purpose: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is a degenerative condition of unknown aetiology that produces an akinetic-rigid form of parkinsonism characterised by early falls, dementia and abnormalities of extraocular movements. The patterns of decrease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and cognitive impairment in PSP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have been insufficiently investigated and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been performed. We evaluated clinical symptoms, functional neuroimaging study using Tc-99m HMPAO SPECT and neuropsychological profiles in patients with PSP. Methods:Eleven patients with PSP diagnosed by the clinical criteria of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and the Society for PSP (NINDS-SPSP) (mean age; 70.5¡¾5.6 years, educational period; 4.5¡¾4.7 years) and age-matched 10 healthy control subjects (mean age; 68.1¡¾4.5 years, educational period; 6.5¡¾4.1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participated. All patients were given a neurologic examination, brain MRI and cerebral perfusion SPECT using Tc-99m HMPAO. We concomittently evaluated several cognitive profiles using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Results:SPM analysis of the SPECT image showed significant perfusion deficits in the left inferior frontal gyrus, left caudate nucleus, left middle frontal gyrus and cingulate gyrus in the patients with PSP compared with age-matched healthy control (uncorrected p<0.01). 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cognitive deficits on verbal and visual memory, word fluency and frontal executive functions were prominent in most patients with PSP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 subjects. Conclusion:Our findings suggest that measurment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by perfusion SPECT and voxel-based SPM analysis with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re useful to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fusion deficits and abnormal cognitive profiles in patients with PSP.



430012
Analysis of voxel-based rCBF in patients with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of multiple system atrophy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 Neurology ?÷ , Dong-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Young Jin Jeong,Do-Young Kang?? , Kyung Won Park?÷ , Sang Ho Kim?÷ , Jae Woo Kim?÷
Purpose: Olivopontocerebellar Atrophy (OPCA) is one phenotype of multiple system atrophy (MSA) and is characterized neuropathologically by neuronal degeneration in the inferior olives, pons and cerebellar cortex. The diagnosis of OPCA requires clinical evaluation to exclude other diseases. And it’s usually supported by atrophy of the cerebellum and brainstem visualized on CT or MRI. But there are some reports that the disease can occur without demonstrable atrophy in these anatomic studies. There are only a few reports about perfusion SPECT imaging in patients with OPC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voxel-based rCBF of OPCA in comparison of healthy volunteers. Methods:We studied 5 patients with OPCA (1 men, 4 women; age 50.4¡¾9.6y) and age matched 13 healthy volunteers (4 men, 9 women; age 54.9¡¾6.6y). All subjects injected 20mCi of Tc-99m HMPAO and scanning was initiated 20 min after injection. Images were analyzed using SPM (SPM99) with Matlab 5.3. Results:On visual analysis, in 3 patients with OPCA, SPECT image showed significant hypoperfusion in the cerebellum. In another 2 patients, diffuse hypoperfusion was found in the both cerebro-cerebellar hemispheres, untypical perfusion pattern in OPCA. So there is existed limitation to diagnosis by only visual analysis. On SPM analysis, in OPCA patients significantly decreased perfusion was present in culmen, tonsil, tuber in Lt. cerebellum and declive, tonsil, pyramid and inf. Semi-lunar lobule in Rt. cerebellum, Rt. inf. frontal gyrus and Rt. temporal lobe (p<0.001, uncorrected). We also performed individual analysis with SPM. Two of 5 patients have additional hypoperfusion brain lesions. In one patient, decreased perfusion found in Lt. temporal, both occipital lobe, Lt. parahippocampal gyrus. In another patient, decreased perfusion found in both frontal and parietal lobe. Conclusion:This study is one of a few trials analysis with SPM for OPCA. We defined the specific location of decreased perfusion in patients with OPCA.



430013
SPM analysis and cognitive dysfunctions in patients with transient global amnesia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 Neurology?÷, Dong-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Young-Jin Jeong,Do-Young Kang?? , Go-Un Yun?÷ , Kyung Won Park?÷ , Jae Woo Kim?÷
Purpose: Transient global amnesia (TGA) is known as a disease of benign nature characterized with clinically transient global antegrade amnesia and a variable degree of global retrograde memory impairment, but it usually resolved within 24 hour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alterations i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by Tc-99m HMPAO SPECT imaging with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analysis and to verify the cognitive deficits by neuropsychological test in TGA patients. Methods:Twelve patients with TGA and age-matched normal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c-99m HMPAO SPECT was performed within 1 to 19 days (mean duration; 7.3¡¾5.2 days) after the events to measure the rCBF. SPECT images were analyzed using SPM (SPM99) with Matlab 5.3.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test was also done within 2 to 8 days (mean duration 3.8¡¾2.2 days) for cognitive functions in 8 of 12 patients with TGA. Results:The SPM analysis of SPECT image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rCBF in the left inferior frontal gyrus (Brodmann area 9), the left supramarginal gyrus (Brodmann area 40), the left postcentral gyrus (Brodmann area 40) and the left precentral gyrus (Brodmann area 4) in patients with TGA (uncorrected p<0.01). Neuropsychological test findings represented that several cognitive functions, such as, verbal memory, visual memory, phonemic fluency and confrontational naming, were impaired in patients with TGA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Additionally, on SPM analysis, we found lesions of hyperperfusion in contralateral cerebral hemisphere. Conclusion:Our study shows perfusion deficits in the left cerebral hemisphere in patients with TGA and several cognitive dysfunctions. And we found after clinical symptoms were completely resolved, the lesions of hypoperfusion were still remained. We found that functional quantitative neuroimaging study and neuropsychological test are useful to understand underlying pathomachanism of TGA.



430015
Effects of Head Motion Correction on the Evaluation of Endogenous Dopamine Release in Striatum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Jae Sung Lee,Sang Soo Cho,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Sang Eun Kim
Purpose: Neuroreceptor PET studies require 60-90 minutes to complete. Head motion of the subject increases the uncertainty in measured activ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data-driven head motion correction on the evaluation of endogenous dopamine (DA) release in the striatum were investigated. Methods:[11C]raclopride PET scans on 4 normal volunteers acquired with bolus plus constant infusion protocol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Following the 50 min resting period, the participants played a video game with a monetary reward for 40 min. Dynamic frames acquired during the equilibrium condition (rest: 30-50 min, game: 70-90 min) were realigned to the first frame at resting condition. Intra-condition registration between the frames during both the rest and game condition were performed, and average image for each condition was created and registered with each other again (inter-condition registration). Resting PET image was then co-registered to own MRI of each participant and transformation parameters were reapplied to the other one. Volumes of interest (VOI) for dorsal putamen (PU) and caudate (CA), ventral striatum (VS), and cerebellum were defined on the MRI. Binding potential (BP) was measured and DA release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 change of BP after the video game. Results:Changes in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striatum during the PET scan were observed before the head motion correction. BP values at resting condition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intra-condition registration. However, the BP values during the video game and DA release (PU: 29.2→3.9%, CA: 57.4→14.1%, ST: 17.7→0.6%) were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e correction. Conclusion:The results suggest that overestimation of the DA release caused by the head motion during PET scan and misalignment of MRI-based VOI and the striatum in PET image was remedied by the data-driven head motion correction.



430027
뇌혈류 스펙트 분석 결과에서 SISCOM 프로그램과 SPM 프로그램의 차이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정영진,강도영
목적: SISCOM은 본래 간질 환자에 있어서 발작기와 발작간기 사이의 혈류 변화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영상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같은 환자에서 치료 과정 중의 혈류 변화의 연속적 관찰이라던 지 아세타졸아마이드 뇌 스펙트에서 약의 투여 전과 투여 후의 뇌 혈류의 변화를 관찰하는데도 간질과 같은 개념으로 SISCOM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SISCOM을 통한 분석과 SPM을 이용한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았다. 방법:동일한 환자에서 경과 관찰을 위해 뇌혈류 스펙트를 일정 기간 간격으로 시행한 11명의 환자와 1일 프로토콜로 아세타졸아마이드 뇌 스펙트를 시행한 환자 19명을 대상으로 SPM 분석과 SISCOM 분석을 시행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뇌혈류 스펙트 환자에게 Tc-99m HMPAO 30mCi를 투여하고 20분간 촬영하였고, 아세타졸아마이드 뇌 스펙트 환자에게 Tc-99m HMPAO 25mCi를 투여하고 20분간 촬영한 후, 다시 아세타졸아마이드 1g을 정맥 주사하고 Tc-99m HMPAO 50mCi를 투여한 후 촬영하였다. SPM 분석에서 기저 영상과 감산 영상을 사용하였다. SISCOM에서 upper threshold는 50, lower threshold는 10으로 설정하였다. 두 영상의 비교는 육안 분석으로 시행하였으며 일치와 불일치의 병변이 함께 있는 경우는 중간형으로 처리하였다. 결과:전체 환자 30명 중 일치하는 환자가 13명(43.3%), 불일치가 11명(36.7%), 중간형이 6명(20%)이었다. 연속 검사 환자 11명 중 일치하는 환자가 3명(27.2%), 불일치가 4명(36.4%), 중간형이 4명(36.4%) 이고, 아세타졸아마이드 뇌 스펙트 검사 환자 19명 중에 일치하는 환자가 10명(52.6%), 불일치가 7명(36.8%), 중간형이 2명(10.6%) 이었다. 1일 프로토콜로 시행한 검사와 일정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 모두 불일치율은 유사하였고, 중간형은 일정 간격으로 시행한 검사에서 더 높았다. SISCOM보다 SPM에서 병변이 더 많이 보였다. 결론:동일한 환자에서 얻은 두 가지 영상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어 SISCOM과 SPM의 결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향후 두 가지 분석의 결과와 육안 분석 및 임상 경과와 비교가 필요할 것이다.



430053
Evaluation of cat brain infarction model using microPET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¹ , 원자력의학원²
이종진,이동수¹ , 김윤희¹ , 황도원¹ , 임상무², 정준기¹,이명철¹
Purpose: PET has some disadvantage in the imaging of small animal due to poor resolution. With the advance of microPET scanner, it is possible to image small animals. However, the image quality was not so much satisfactory as human image. As cats have relatively large sized brain, cat brain imaging was superior to mice or rat.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cat brain infarction model and evaluate it and its temporal change using microPET scanner. Methods:Two adult male cats were used. Anesthesia was done with xylazine and ketamine HCl. A burr hole was made at 1cm right lateral to the bregma. Collagenase type IV 10 ul was injected using 30G needle for 5 minutes to establish the infarction model. F-18 FDG microPET (Concorde Microsystems Inc., Knoxville, TN) scans were performed 1, 11 and 32 days after the infarction. In addition, 18F-FDG PET scans were performed using Gemini PET scanner (Philips medical systems, CA, USA) 13 and 47 days after the infarction. Results:Two cat brain infarction models were established. The glucose metabolism of an infraction lesion improved with time. An infraction lesion was also distinguishable in the Gemini PET scan. Conclusion:We successfully established the cat brain infarction model and evaluated the infracted lesion and its temporal change using F-18 FDG microPET scanner.



430068
The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Successful Pain Relief of Intractable CRPS type II Patients by Motor Cortex Stimulation
가톨릭대학교 핵의학과
정용안,손형선, 김성훈, 정수교
Purpose: Authors report the effectiveness of MCS in extraordinarily extended pain due to intractable CRPS type II and rCBF study result for mechanism of pain control by MCS. Methods:A 43-year-old male presented severe spontaneous burning pain in his left hand and forearm and allodynia over the left arm and left hemibody. Authors planned MCS as a neuromodulation therapy for this intractable peripheral neuropathic pain patient because further neurodestructive procedure did not work anymore and have a potential risk of further aggrevation of neuopathic pain. We performed baseline and stimulation brain perfusion SPECT using 20 mCi of Tc-99m ECD. The baseline CBD studies were done with stimulator “off” state and stimulation studies were done after stimulator “on” with satisfactory pain relief. For the stimulation study, the radioisotope was injected immediately after pain-relief and the images were taken about 50 minutes after injection of radioisotope. Results:In resting rCBF in the patient was compared with normal control datas, we found significant increase in rCBF in the bilateral prefrontal cortex, righ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right superior temporal gyrus, left temporooccipital area. When rCBF datas obtained after alleviation of pain with stimulator “on”,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rCBF in bi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left temporooccipital area. After subtraction of ECD SPECT, we found significant increase in rCBF in the right premotor and supplementary motor cortex, left sensorimotor cortex, right cingulated cortex, right posterior insular cortex, right anterior limb of internal capsule, left orbitofrontal cortex and right pyramidal tract in cerebral peduncle. Conclusion:Authors report exellent pain control by MCS in a case of severe CRPS type II with hemibody involvement an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changes according to successful pain control.



430072
본드 흡입자들에서의 brain SPECT 분석
영남대학교의료원 핵의학과¹ , 예방의학과²
천경아¹,조인호¹ , 이형우¹ , 사공준²
목적: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의 경우와 달리 본드 흡입에 의한 중독이 비교적 많은 편이나, 이에 대한 SPECT 및 PET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자들은 본드 흡입을 수년간 지속적으로 해온 환자들을 대상으로 brain SPECT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방법:12명 (남자 11명, 여자 1명, 평균연령: 28.1 세) 의 본드 흡입자 들을 대상으로 하여 안정상태에서 Tc-99m ECD를 이용한 brain SPECT를 실시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육안분석 및 SPM99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상대조군과 비교를 하였다. 결과:육안적인 분석 결과 전두엽과 대상회 (cingulate gyrus) 영역의 관류감소가 가장 많았고, 그 외에 기저핵 및 시상, 그리고 측두엽의 섭취감소도 관찰되었다. SPM 분석결과는 환자군 들에서 대상회 영역의 섭취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 < 0.01). 결론:본드 흡입에 의한 뇌손상을 평가하는데 brain SPECT 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75
Altered Glucose Metabolism in Juvenile Myoclonic Epilepsy: a PET Study with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¹ , 신경과²
임기천¹,김지현² , 강중구², 김재승¹ , 여정석¹, 이상암², 문대혁¹
Purpose: Juvenile myoclonic epilepsy (JME) is a hereditary, age-dependent epilepsy syndrome, characterized by myoclonic jerks on awakening and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Although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studies on the mechanism to elucidate pathogenesis of JME, the accurate pathogenesis of JME remains obsc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lterations of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n patients with JME. Methods:We studied 16 JME patients (Mean age: 22 yrs, M/F: 9/7) with brain FDG-PET and simultaneous EEG recording.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generalized spike-and-wave (GSW) discharges on the 30 min EEG recording after the injection of FDG (370MBq), we classified patients into two groups (patients in group A had 10 or more GSW and group B, 9 or less). We applied the automated and objective technique of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 to the analysis of FDG-PET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hyper- and hypometabolic regions compared with those of 19 age matched normal control subjects. Results:We found significant hypermetabolic regions in bilateral thalamus and central portion of upper brainstem in 16 patients with JME at a statistical threshold of uncorrected P < 0.05. These changes were also shown in group A (n=8), but not in group B (n=8). Additionally, we found significant hypometabolism in bilateral, widespread cortical regions in 16 patients with JME at a threshold of uncorrected P < 0.01. Similar hypometabolic patterns were also observed in both group A and group B, being more prominent in group A. Conclusion: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the key role of the thalamus and brainstem reticular activating system in generating spontaneous GSW discharge, which is considered as a fundamental pathogenesis underlying JM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patients with JME might suffer from subtle abnormalities of cognitive and executive cortical functions.



430081
국소성 뇌질환과 미만성 뇌질환에서 SPM 분석상 계수 정규화의 영향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과
정영진,강도영
목적: 뇌질환 환자의 뇌 영상에 대해 SPM을 이용한 분석을 함에 있어 환자마다 뇌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공간 정규화 (Spatial normalization)를 한다. 그런데 미만성 뇌질환에 있어서는 공간 정규화와 더불어 뇌에서 정상으로 생각되는 어떤 부위의 계수에 대해 병변의 계수를 표현하는 계수 정규화 (Count normalization)를 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소성 뇌질환과 미만성 뇌질환에 있어서 계수 정규화가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분석해 보았다. 방법:국소성 뇌질환의 예로 우측 전대뇌동맥 경색 (Rt. ant. cerebral infarction)환자와 미만성 뇌질환의 예로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택하였다. SPM (SPM99, Matlab 5.3)으로 분석하였고, 양자 모두에서 공간 정규화와 계수 정규화를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수 정규화 분석시에 공간 정규화, 계수 정규화, smoothing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계수 정규화는 소뇌와 전체 뇌를 각각 선택하였고, 뇌혈류 스펙트의 육안 소견상 두 환자 모두에서 소뇌에는 병변이 없었다. Uncorrected p=0.01로 설정하였다. 결과:우측 전대뇌동맥 경색 환자의 경우 소뇌에 계수 정규화 시킨 것에 비해 전체 뇌에 대해 계수 정규화만을 시킨 결과에서 약간 더 넓은 병변이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주 병변인 우측 전두엽의 병변은 크게 변동이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소뇌와 전체 뇌에 대해 계수 정규화 하였을 때 두가지 사이에 병변의 차이가 매우 커서, 소뇌에 대해 계수 정규화 시킨 것이 전체 뇌에 대해 계수 정규화만 시킨 결과에 비하여 훨씬 넓은 병변을 보여 주었다. 주 병변인 양쪽 두정엽, 측두엽의 병변이 매우 넓어진 것뿐만 아니라 전두엽까지 그 병변이 넓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우측 전대뇌동맥 경색 환자에서는 계수 정규화의 위치에 따라 병변의 크기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병변의 크기와 위치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서 소뇌에 대해 계수 정규화시에 병변의 영역이 더 넓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특정 뇌 부위에 대한 계수 정규화는 미만성 뇌질환에서 더 의미가 있으며, 미만성 뇌질환의 경우 계수 정규화의 선택 여부와 선택 이후에 병변의 의미를 해석할 때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430085
정신분열병 환자의 무쾌감증과 관련된 신경 구조 :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연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¹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행동과학 연구소²,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³
김재진 ¹, ²,,석정호¹, ², 전지원², 이홍식¹, ², 박해정³, 윤미진³, 이종두³
목적: 자신의 내적 혹은 외적 환경 속의 다양한 자극들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감동을 느끼지 못하는 무쾌감증(anhedonia)은 정신분열병의 핵심 정신병리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뇌 영역을 찾아보는 신경영상학적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무쾌감증을 조사하고 양전자방출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하여 이들의 안정시 뇌혈류량을 측정해 봄으로써 정신분열병 환자의 무쾌감증과 관련된 뇌영역을 조사해보았다. 방법: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 20명 (남자10명, 여자10명)과 성별, 연령으로 짝을 맞춘 정상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무쾌감증 척도와 사회적 무쾌감증 척도를 이용하여 무쾌감증상을 측정하고 [18F]Fluoro deoxy glucose (FDG)-positron emission tomograpy(PET)를 이용하여 안정시 뇌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무쾌감증상의 정도와 국소 뇌혈류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99)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정신분열병 환자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신체적 및 사회적 무쾌감증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후 대상회(posterior cingulate gyrus), 우내측 전전두 및 우측 전운동 영역(right medialprefrontal gyrus, right precentral gyrus), 양측 측두엽(bilateral superior temporal gyrus, right middle temporal gyrus)과 우측 방추상회(right fusiform gyrus) 등이 정신분열병 환자군의 신체적 무쾌감증 척도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inverse correlation)를 보였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 무쾌감증 척도 및 정상대조군의 무쾌감증 척도 점수와 뇌 혈류량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이번 연구를 통해 정신분열병 환자의 무쾌감 증상과 관련있는 곳으로 보고된 뇌 영역들은 주위 환경에 대한 감시(monitoring)와 동기(motivation)의 조절, 정서적 정보처리 및 조절과 관련된 구조들이다. 이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무쾌감증을 보이게 되는 신경학적 구조들을 찾아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정신분열병의 무쾌감증과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30088
난치성 환청증상이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뇌 대사 특성 :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연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¹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행동과학 연구소²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³
석정호 ¹ ,²,김재진 ¹ ,², ³, 전지원², 이홍식¹ ,² , 박해정 ³, 윤미진³, 이종두³
목적: 정신분열병의 정신병리와 관련된 신경기능이상을 밝히기 위해 지속적인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청이 지속되고 있는 환자군과 망상 및 다른 증상은 있으면서 환청은 없는 환자군을 대상으로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분열병 환자의 증상 특성에 특이적인 신경계의 이상을 관찰해보고자 하였다. 방법: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에서 치료중인 정신분열병 환자 중 난치성 환청이 지속되고 있는 환자 12명(남자6명, 여자6명)과 환청이 없는 환자 12명(남자6명, 여자6명)를 선별하고, 성별 및 나이로 짝을 맞춘 정상대조군 22명(남자11명, 여자11명)을 모집하여 [18F] fluoro-deoxy-glucose (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을 이용하여 안정시 뇌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고 정신분열병 환자군의 증상은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PANS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뇌 활성화 정도에 대한 분석은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99)을 이용하였다. 결과:정신분열병 환자군은 환청의 유무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정상대조군에 비해 양측 기저 신경절(basal ganglia), 양측 측두극(temporal pole),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등에서 국소 뇌혈류량(rCBF)이 증가되었다. 난치성 환청이 있는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 및 환청이 없는 환자군에 비해 소뇌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국소 뇌혈류량이 증가되었으며 양측 전두엽에서의 국소 뇌혈류량은 감소되었다. 환청이 없는 환자군은 정상인에 비해 양측 안와전두엽 부위의 국소 뇌혈류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국소 뇌혈류량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된 영역은 없었다. 환청이 있는 환자군이 환청이 없는 환자군에 비해 양성증상척도 점수는 유의하게 높았으나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척도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난치성 환청이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환청이 없는 환자군에 비해 소뇌의 과활성화 및 전두엽 기능저하 등을 보이며 광범위한 신경기능이상이 관찰되고 있다. 한편, 환청이 없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이전의 연구들에서 약물치료와 관련하여 뇌 활성화가 증가된다고 보고된 영역을 제외하면 측두엽과 전두엽의 일부영역에서 과활성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군 내에서 증상특성에 따라 신경계의 기능이상이 다르게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30089
SPM Analysis of Brain Perfusion SPECT and F-18 FDG PET in the Korean Autosomal Dominant Nocturnal Frontal Lobe Epilepsy Famil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Kyoung Sook Won,Seok Kil Zeon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pecific pattern of brain perfusion and glucose metabolism in the korean autosomal dominant nocturnal frontal lobe epilepsy (ADNFLE) family. Methods:Using Tc-99m ECD brain perfusion SPECT, we assessed brain perfusion in 6 patients at interictal period and 5 patients at ictal period. Interictal F-18 FDG PET was performed on 6 affected family members. The scan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SPM99). The data of the affected family member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subjects. Results:Interictal F-18 FDG PET SPM group analysis showed decreased glucose metabolism over the left middle and superior frontal gyri and the left central regions, including the anterior parietal lobe. There was a less pronounced decrease in glucose uptake in the right anterior superior frontal gyrus. Interictal brain perfusion SPECT SPM group analysis showed similar pattern of decreased perfusion compared to those of interictal F-18 FDG PET. Ictal brain perfusion SPECT SPM group analysis revealed increased perfusion over the left pre- and postcentral gyri and less pronounced increased perfusion in the right postcentral gyrus. Conclusion:Interictal F-18 PET and brain perfusion SPECT SPM group analysis suggest that major abnormalities of ADNFLE family are in the left frontal lobe. These findings may be helpful to elucidate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of this rare disease entity.



430090
SPM(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을 이용한 특발성 파킨슨병(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과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predominent Parkinsonism, MSA-P) 사이의 관류 양상 비교
아주대힉교병원 핵의학과¹ ,아주대학교병원 신경과²
안영실¹,윤준기¹, 이명훈¹ ,조철우¹ ,윤석남¹ ,주억식² ,이필휴²
목적: 특발성 파킨슨병(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과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predominent Parkinsonism, MSA-P)는 증상이 비슷하여 임상적으로 감별진단 하기 어려우나, 대뇌 피질과 피질하 구조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병태생리를 가지기 때문에 대뇌 혈액 관류 정도를 평가 함으로써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M(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을 이용하여 특발성 파킨슨병(IPD) 과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MSA-P) 사이의 대뇌 혈액 관류 양상의 차이을 비교하였다. 방법:특발성 파킨슨 환자(IPD) 21명(남자 6, 여자 15; 평균 나이 68세),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MSA-P)환자 14명(남자 7, 여자 7; 평균 나이 64세), 정상 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99m Tc-ethylcysteine dimmer(ECD) SPECT 을 시행하였다. 양측성 t-검정법 SPM(uncorrected P<0.001, extended threshold > 100 voxel) 을 이용하여 각각의 특발성 파킨슨군과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군을 정상군과 비교하였다. 결과:특발성 파킨슨병(IPD)군은 정상군과 비교할 때 양측 꼬리핵(caudate nucleus), 시상(thalmus),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전두엽(frontal), 상측 측두엽(superior temporal cortex)의 혈액 관류가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01).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MSA-P)군은 정상군과 비교시 양측 꼬리핵(caudate nucleus),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전두엽(frontal lobe)의 혈류가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01). 특발성 파킨슨병(IPD)군과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MSA-P)군을 비교하면, 양측 소뇌의 관류 감소가 의미있게 나타났으며(uncorrected p < 0.005), 반면 기저핵의 관류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특발성 파킨슨병(IPD) 과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MSA-P)의 관류 정도를 비교해 볼 때, 대뇌 피질-피질하 관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소뇌에서는 파킨슨 증후군 우세 다발성 뇌신경계 위축증(MSA-P)에서 의미있게 감소 되어있으며, 이는 두 질환을 감별진단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30096
Correlation of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 with Motor impairment of the Hemiplegic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and Rehabilitation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Ho-Chun Song??,In Sung Choi?÷, Young-Jun Heo??, Jeong-Jun Min??, Sam Gyu Lee?÷, Hee-Seung Bom??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 (CCD) and motor evoked potentials (MEPs) an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CD and the severity and prognosis of stroke. Methods:Twenty-eight patients with first-ever unilateral stroke underwent brain perfusion SPECT with Tc-99m ECD. The existence of CCD was evaluated by visual inspection on SPECT images. The central motor conduction times were obtained from Abductor pollicis brevis and Abductor hallucis by recording MEPs.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the motricity Index (MI), and the functional outcome scales were measured. Results:Fifteen of 28 patients (53.6%) had CCD. The presence of CC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ot evoked" MEPs in the upper extremity (p<0.01). The existence of CCD was not associated with the locations (p>0.05) and volume of brain lesion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CCD and lower MI score of upper extremity (p<0.05). Conclusion:The presence of CCD would indicate the damage on the descending motor pathways and be associated with the severe motor impairment of the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430099
두부 외상 후 지적 능력 장애 판정에 있어서 국소 뇌혈류 SPECT의 유용성;해부학적 영상과의 비교
동국대학교의과대학 진단방선과학교실¹, 계명대학교의과대학핵의학교실², 정신과학교실 ³
전석길²,구관민¹ , 김순¹ ,원경숙²,김정범 ³
목적: 두부 외상 후 노동능력의 심각한 장애를 시사하는 지적 능력 장애를 진단하는데 있어 국소 뇌혈류 SPECT를 MR 또는 CT 등 해부학적 영상과 비교하여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두부 외상 후 지적 능력 장애를 주소로 법원으로부터 정신감정을 의뢰받은 환자에서 국소 뇌혈류 SPECT(rCBF SPECT)와 두부 자기공명영상(MRI) 혹은 전산화단층촬영(CT)를 함께 시행한 10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10례에서 Tc-99m ECD rCBF SPECT 검사 한 달 이내에 MRI 혹은 CT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정신과 의사가 정신 감정을 시행하여 지적 능력 장애 여부를 판정 하였으며, 지적능력 장애를 보인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를 구분하여 MRI 또는 CT 영상과 rCBF SPECT 영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10례 가운데 6례는 지적 능력 장애를 보였고, 4례는 정상이었다. rCBF SPECT 영상에서 지적 능력 장애를 보인 6례 모두에서 국소혈류의 감소 혹은 결손을 보였으며, 지적 능력 장애가 없었던 4례는 모두 정상이었다. 두부 MRI 혹은 CT 에서는 지적능력 장애가 있었던 6례 가운데 5례에서 뇌실질의 병변이 있었고 1례에서 정상 소견을 보였으며, 지적 능력 장애가 없는 4례 가운데 2례는 뇌실질 병변, 2례는 정상이었다. 지적 능력 장애를 보였으나 해부학적 영상에서 뇌실질 병변이 없었던 1례에서 rCBF SPECT에 양측 전두엽 피질의 다발성 혈류 감소를 보였다. 해부학적 영상에서 외상에 의한 뇌실질 병변이 있었으나 rCBF SPECT가 정상을 보인 증례가 있었으나 지적 능력 장애는 없었다. 결론:두부 외상에서 지적 능력 장애는 뇌의 기질적 병변을 시사하는 소견으로 노동력 손실을 가져 온다. 저자들의 연구에서 지적 능력 장애를 유발하는 뇌의 기질적 병변을 관찰함에 있어서, rCBF SPECT는 국소 뇌혈류 감소를 유발하지 않는 해부학적 영상의 뇌실질 병소와, 해부학적 뇌실질 병소를 일으키지 않는 국소 뇌혈류 감소를 진단하는데 유용하였다. 따라서 rCBF SPECT는 외상 후 지적능력 장애를 판정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120
Regional Cerebral Glucose Metabolic Changes in Oculopalatal Myoclonus: Implication for Neural Pathways Underlying the Disorder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and Neur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ang Soo Cho??,So Young Moon?÷, Ji Soo Kim?÷, Sang Eun Kim??
Purpose: Palatal myoclonus (PM) is characterized by rhythmic involuntary jerky movements of the soft palate of the throat. When associated with eye movements, it is called oculopalatal myoclonus (OPM). Ordinary PM is characterized by hypertrophic olivary degeneration, a trans-synaptic degeneration following loss of neuronal input to the inferior olivary nucleus due to an interruption of the Guillain-Mollaret triangle usually by a hemorrhage. However, the neural pathways underlying the disorder are uncertain.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pathologic neural pathways, we examined the metabolic correlates of this tremulous condition. Methods:Brain FDG PET scans were acquired in 8 patients with OPM (age, 49.9¡¾4.6 y; all males; 7 with pontine hemorrhage, 1 with diffuse brainstem infarction) and age-matched 50 healthy males (age, 50.7¡¾ 9.0) and the regional glucose metabolism compared using SPM99. For group analysis, the hemispheres containing lesions were assigned to the right side of the brain. Results:Patients with OPM had significant hypometabolism in the ipsilateral (to the lesion) brainstem and superior temporal and parahippocampal gyri (P < 0.05 corrected, k = 100). By contrast, there was significant hypermetabolism in the contralateral middle and inferior temporal gyri, thalamus, middle frontal gyrus and precuneus (P < 0.05 corrected, k=100). Conclusion:Our data demonstrate the distinct metabolic changes between several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brain regions (hypometabolism vs. hypermetabolism) in patients with OPM. This may provide clues for understanding the neural pathways underlying the disorder.



430138
선천성 전농 환아의 인공와우관 이식 술전 두뇌 F18-FDG PET 영역 별 FDG-uptake와 수술후 예후의 상관관계 연구
1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과, 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
이윤상,이윤상1, 강은주1, 강혜진1 , 이효정2, 오승하2, 김종선2 이동수1,이명철1
목적: 인공 와우관 이식수술 후 선천성 전농아들의 청각언어 재활능력은 다양한 개인차이를 보이며, 이는 술전 두뇌의 기능적 차이와 관련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 두뇌 혈당대사 정도를 관심영역별로 세분화하고, 수술 후 청각 언어검사 결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청각언어 회복에 관여하는 두뇌영역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선천성 전농 환아들(n=36, age: 1.6~12.1세)로부터 획득된 F18-FDG PET 영상들은 SPM99을 통한 공간정규화 과정을 거친 후, 양측 일차 청각피질영역과 SPAM(Statistical Probabilistic Anatomical Map)에 의한 관심영역 89개를 포함한 총 91개 관심부피영역(VOI)으로 재정의 되었다. 각 VOI별 평균 FDG-uptake는 수술 2년 후의 청각언어 능력 측정치인 K-CID(Korean–Central Institute of Deaf) 점수 및 수술 시의 환아 연령 등과 상관 분석 되었으며, 추가로 정상성인집단(N=15)과 비교시 상대적으로 낮은 FDG uptake를 보이는 각 VOI 영역과 KCID점수 및 나이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좌측 후측두엽(Left lateral occipito temporal gyrus)에서의 당 대사량과 KCID 점수간에는 부적 상관이 관찰되었으며, 역시 동일한 영역에서 정상인 두뇌에 비해 당 대사량이 유의미하게 낮을수록 KCID 점수는 높음이 발견되었다. 결론:인공 와우관 이식 수술 이전의 좌측 후측두엽의 혈당대사의 상대적 감소 정도는 선천성 전농아들의 수술 후 청각 언어 회복 능력 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30179
키토산 비계를 이용한 신경줄기세포의 고정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¹ ,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과²
김윤희¹,이동수¹ , 강주현¹ , 정준기¹ , 정재민¹ , 이명철¹ , 이승진²
목적: 암세포와 달리 신경줄기세포는 생체 내 에서 종괴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핵의학적 영상을 얻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이번 연구에서는 키토산 비계에 NIS 유전자를 발현하는 신경줄기세포를 배양해 실험관 내에서 방사성 요오드 섭취율을 측정 하고자 하였다. 방법:F3 세포는 태아 telencephalon에서 신경 줄기 세포를 분리한 후 v-myc 유전자로 불멸화 한 신경줄기 세포주이다. hNIS 유전자를 발현하는 벡터 pIRES-NIS/Hyg를 제작한 후 리포좀을 이용하여 F3 세포를 형질전환 하였다(F3NIS). 1X105개의 F3 세포를 지름 0.5cm, 두께 0.1cm의 키토산 비계에서 7일간 배양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5X105개의 F3 세포와 F3NIS 세포를 지름 0.3cm, 두께 0.1cm의 키토산 비계에서 4일간 배양 후 방사성요오드 섭취능을 감마카운터로 측정하였다. 결과: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F3 세포는 키토산 비계에 잘 부착하고 성장하였다. 5X105개의 F3 세포와 F3NIS 세포를 키토산 비계에서 4일간 배양 후 방사성요오드 섭취능 측정결과 F3NIS 세포는 F3 세포보다 평균 4.13배 높은 섭취능을 보였다. 결론:위와 같은 실험관내에서의 결과를 볼 때 생체 내 에서 키토산 비계를 이용한 신경줄기세포의 핵의학적 영상 획득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430188
Tc-99m ECD 뇌 SPECT를 이용한 합곡-곡지 전침 치료의 뇌혈류에 대한 효과
경희대학병원 핵의학과, 경희대 한방병원 2내과¹ ,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²
김덕윤,문상관¹ , 이재성²
목적: 뇌졸중에 대한 침치료는 한의학분야에서 많은 임상결과가 누적되고 있지만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작용기전이 명확하지 않고 표준화된 침치료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뇌졸중 치료에 사용되는 침치료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유증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합곡-곡지 부위 전침치료가 뇌 특정부위의 혈류 변화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대상은 뇌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지원자 20명 (남자 17명, 여자 3명)으로 평균연령은 25.4±1.8세 였다. 뇌 SPECT영상은 Tc-99m ECD 1110 MBq을 주사하고 삼중헤드 SPECT(Siemens, USA)를 이용하여 안정시와 전침 시술후 영상을 얻었다. 전침시술은 안정시 영상촬영과 7일 간격을 두고 시행하였으며 대상자의 우측 곡지, 합곡혈을 선택하여 시술하고 저주파전기치료기(GFP-91, Siemui Co, Japan)를 연결하여 주파수 2 Hz, 간헐파로 15분간 전침치료를 시행한 후 동위원소를 주사하고 안정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뇌 SPECT영상을 얻었다. SPECT 영상은 Matlab과 SPM99를 이용하여 안정시와 전침자극후 영상을 분석하여 뇌혈류 증가와 감소에 대한 통계적 파라미터 뇌지도를 작성하였다. MNI확률맵과 MRIcro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Broadman 영상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였다. 결과:정상인에서 우측 합곡-곡지 전침치료후 뇌혈류가 유의한게 증가된 영역은 양측 상두정엽(Broadman 영역 BA7), 좌측 하/중 전두회(BA46), 우측 대상회/중심전회(BA23,BA4), 우측 외측 전두저/중전두회(BA11,BA10), 우측 하전두회(BA46,BA47)이었다. (P=0.01, uncorrected) 뇌혈류가 저하된 영역은 뇌후두엽에서 국한되어 관찰되었다. (P=0.01, uncorrected) 결론:뇌졸중 후유증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합곡-곡지 전침치료가 전대뇌동맥의 관류영역인 전두엽 및 두정엽 부위의 국소혈류를 증가시킴을 관찰하였다. 이는 특정 경혈의 침치료와 뇌 특정영역과의 관련성을 추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